명상일기

나와의 인연, 나와의 만남

이봉이상훈 2012. 1. 30. 11:10

'이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하나같이 원하는 바가 있으니 

 바로 견성이다.


 허나 본인이 이것을 원하고 있는지를 아는 데까지만도 

 수천인연을 거쳐서 알아지게 되며,

 알아진 후에도 또 수천 인연을 거쳐 견성에 다가가는 것이니,

 인연이란 꼭 밖에 있는 것뿐이 아니요,

 내 안에 있는 것과의 만남도 인연인 것이다. 


 오히려 내 안의 나와의 인연이 더욱 소중하며 가꾸어야 하는 것이고,

 밖의 모든 것들 역시 모두 나의 간접 형상인바,

 내부의 나에 비하면 그 영향이 표면적이다.


 참나와의 견성은 절대 그냥 나오지 않는다.


 피눈물 나는 고행의 끝에 자신을 발견하게 되며,

 자신을 발견한 후 참공부가 시작되는 것이니,

 참공부의 시작은 참나와의 동화과정이니라.


 나와의 만남 사이에 가장 방해가 되는 것 역시 나이니,

 어떤 나가 도움이 되고

 어떤 나가 방해가 되는 것인지는

 스스로 호흡 속에서 분별해 보면 나타나는 것이니라.


 버려야 할 나를 간직하고 있는 것은 없느냐?

 - 있사옵니다.


 어찌하겠느냐?

 - 버리도록 하겠습니다.


 버려야 할 나 중 분별해 보도록 하여라

 - 그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본성과의대화2, 51]-[한국의선인들4, 180]




견성에 대한 얘기입니다.


이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하나같이 원하는 바가 바로 견성이라고 합니다.

단지 본인이 이것을 원하고 있는지를 모르고 있을 뿐이라고 하네요.

그걸 원한다는 걸 아는 데까지만도 수천인연이 필요하다고 하니,

견성이라는 걸 알고, 그걸 하고 싶어한다는 것만도 참 감사해야 할 일입니다.


또한 그걸 알고 있어도,

견성에 다가가기 까지에도 수천인연을 거쳐야 한다고 하니,

참 지난한 길인가 봅니다.


그럼 인연이란 뭘까요?


'인연은 나의 부족함을 채우기 위한 만남'

http://blog.naver.com/shleewits/70114310297

이란 포스팅에서

인연이란 만남이며, 그때 그때 필요한 만남이라고 했습니다.


즉, 수천번의 만남을 통해서 내가 원하는 바가 견성이라는 걸 알고,

또, 수천번의 만남을 통해서 견성에 다가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 만남이 밖에 있는 것 뿐만 아니라,

내 안에 있는 것과의 만남도 인연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내 안에 있는 '나와의 인연'이 더욱 소중하며 가꾸어야 하는 것이라고 하네요.


견성이란 

'참나'와의 만남인데,

그 만남을 위해서는 수천번의 나와의 만남을 거쳐야 한다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이때의 수천번의 나와의 만남에서의 '나'는 어떤 나인가?


아마도 내가 가지고 있는 수많은 나의 모습들이겠지요.

그 수많은 나와의 만남을 통해서,

어떤 나가 참나와의 만남에 도움이 되는 나이고,

어떤 나가 방해가 되는 나인지를 분별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 분별의 방법은 호흡 속에서 분별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소중히하고 가꾸어야 하는 '나와의 만남'이란,

호흡 속에서 늘 나를 발견하고,

그 '나'가 도움이 되는 '나'인지, 방해가 되는 '나'인지

끊임없이 분별하고, 버리고 하는 과정이 바로,

수련을 위한 과정일 것 같습니다.


그러한 과정이 또한

피눈물 나는 고행의 과정이며,

그런 과정을 통해 참나를 발견하고,

또 발견한 후에는 '참나와의 동화'라는 '참공부'의 과정에 들어가게 되겠지요.


그러한 모든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나와의 인연' '나와의 만남' 입니다.


오늘 내가 만나는 나는 어떤 나인가?

버려야 할 나인가?

간직해야 할 나인가?


호흡 속에서 찬찬히 분별해 봅니다.



본성과의 대화. 2

저자
문화영 지음
출판사
수선재 | 2010-07-28 출간
카테고리
시/에세이
책소개
『본성과의 대화』제 2권. 이 책은 도서출판 수선재에서 1999...
가격비교



'명상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自信)을 가져라.  (0) 2012.02.01
서두름  (0) 2012.01.31
서두르지 않는 것이 수련의 요체  (0) 2012.01.25
자기 자신을 속이지 말라.  (0) 2012.01.20
기분대로가 아닌 마음대로 하라.  (0) 2012.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