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다.
"호흡하라.
호흡만이 모든 것을 가능케 해 줄 것이다.
호흡만이 모든 것을 이룩할 수 있다.
말씀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호흡이 중요한 것이다.
호흡의 가치는 모든 것과의 소통이다.
어느 물(物)이고 호흡을 안하는 것은 없다.
이 호흡으로 어떤 물이나 영과도 통하는 방법을 삼을 수 있는 것이다.
정보의 교환은 서로 상대를 알아보는 길이다.
정보는 호흡이며
이 호흡으로 만물의 생성, 소멸의 과정을 알 수 있다.
모든 것은 호흡에 기초하여 변화한다.
그 변화의 모든 것을 호흡이 가지고 있는 것이다.
호흡으로 열고
호흡으로 들어가고
호흡으로 마무리하라.
호흡은 인간이 가진 가장 큰 혜택이자
사용 가능한 무기이며
깨우침의 방법인 것이다.
호흡이 무서운 줄 알라." [본성과의대화2, 107]-[한국의선인들4, 233]
1)
"말씀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호흡이 중요한 것이다"
이 말의 의미는 뭘까요?
말씀이 중요하다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고,
수련의 4바퀴중의 하나이기도 한데,
왜 여기서는 말씀보다 호흡이 더 중요하다고 할까요?
지금까지 글의 흐름을 보면,
지속적으로 자립, 독립, 자기확립, 자신을 바로세우기 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말씀이란 배워서 아는 것입니다.
지식으로 머리로 아는 것입니다.
"말로는 알고 있었사오나 마음 깊이 동화되기엔 아직 거리가 있었사옵니다"
-<확신은 가장 큰 힘 (나를 비움은 다른 것으로 나를 채우는 것)>
말로만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걸 확신해야 하는 것이며,
내 마음 깊이 동화되어야 하는 것이며,
진정한 나의 얘기가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확신이고, 자립이며, 독립이고, 자신을 세우는 것입니다.
내가 들은 얘기가 아니라,
내가 하고 싶은 얘기,
내가 체험하고 경험한 얘기여야 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진정한 '깨우침'입니다.
이 대목이 바로 중요한 고비이며,
이 고비를 넘어야 참수련에 들어갈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이제는 말씀으로 들어서, 지식으로 아는 단계를 넘어
자신의 것으로 체화하고, 자신을 세우는 단계가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제는
"말씀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호흡이 중요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는 겁니다.
2)
자립하고, 독립하고, 자신을 세우는 방법은 과연 무엇인가?
말로만 알고 있는 것을 넘어 '마음 깊이 동화'되는 방법은 무엇인가?
'소통'입니다.
스승이, 깨달은 사람이 소통을 통해서 얻은 지식을 배우는 것을 넘어서,
이제는 내가 직접 '소통'을 통해서 그걸 확인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이 필요한 겁니다.
내가 직접 '소통'함으로써
어떤 물이나 영과도 통함으로써
정보를 교환하고
상대를 알아보고, 알아내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러한 '소통'의 방법이 바로,
'호흡'인 것입니다.
호흡을 통해서
"어떤 물이나 영과도 통"할 수 있으며,
"정보의 교환"을 통해 "서로 상대를 알아보"게 되고,
"만물의 생성, 소멸의 과정"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호흡'을 통해,
내가 '말씀'으로 배운 것을 확인하고, 경험하고, 확신해야지만이
진정한 나의 것으로 만들 수 있고,
자립하고, 독립하고, 자신을 세울 수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호흡은 인간이 가진 가장 큰 혜택"이고,
"사용 가능한 무기"이고,
"깨우침의 방법"이라고 한 것입니다.
'호흡'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인 것입니다.
영의 호흡이라 함은
영과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어릴 때는 '말'을 배워 사람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면,
수련의 길에서는
'호흡'을 배워 모든 만물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제는 내가 직접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내가 직접 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 방법이 바로 호흡입니다.
그래서 호흡이 무서운 것입니다. ^___^
3)
"모든 것은 호흡에 기초하여 변화"한다고 합니다.
"그 변화의 모든 것을 호흡이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호흡이란 '소통'이라고 했습니다.
사람을 비롯하여 모든 만물이 다 호흡을 한다고 했습니다.
"어느 물(物)이고 호흡을 안하는 것은 없다."
호흡, 즉 소통을 통해서 모든 만물은 정보를 교환하고, 변화하는 것입니다.
호흡을 통해 변화하기 때문에, 호흡에는 그 변화의 모든 것이 담겨져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호흡을 알면,
호흡으로 그 변화의 모든 것을 읽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호흡을 '정보'라고 하는 것입니다.
호흡에 모든 만물의 정보가 다 담겨져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호흡으로 열고
호흡으로 들어가고
호흡으로 마무리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단전호흡으로 축기하는 수준을 넘어서,
호흡을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소통의 수단으로서 인식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지속적인 호흡이 필요한 것입니다.
이제는 말을 배우던 어린 시절을 떠올리며,
호흡으로 대화하는 법을 배워야겠습니다.
호흡으로 소통하는 법을 배워야겠습니다.
본성과의 대화. 2